홈으로 > 진료분야 > 안면마비
확대축소
  • 안면마비란 어떤 질병인가요? 펼쳐보기


    안면마비란 얼굴 근육의 운동성이 떨어져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즉, 이마 주름이 생기지 않고 입이 한쪽으로 돌아가며 콧망울이 움직이지 않는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주로 얼굴의 편측으로 발생하지만, 드물게 얼굴 전체에 마비가 생기기도 합니다. 여러 뇌신경들 중 7번 뇌신경인 안면신경의 문제로 발생하는 경우를 말초성 안면마비라고 하며, 종양, 뇌졸중 등 뇌의 문제로 안면마비가 발생한 경우를 중추성 안면마비라고 합니다.

  • 안면마비는 왜 생기나요? 펼쳐보기


    말초성 안면마비는 안면신경의 문제로 발생합니다. 안면신경은 뇌에서 빠져나온 말초신경의 하나로 세균감염, 혈관의 압박, 외상으로 인한 손상, 주변 종양의 압박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를 특발성 안면마비라고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단순 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라는 바이러스가 안면신경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가장 유력하다고 합니다.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는 자극요인은 다양한데, 예를 들어 과로, 발치, 월경, 추위에 노출, 감기에 걸림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환절기에 바이러스 감염이 쉬워 감기가 잘 걸리듯 안면마비에 대해서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발성 안면마비와 구분되는 유사한 질환으로 람세이 헌트 증후군이 있습니다.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대상 포진 바이러스(herpes zoster virus)가 안면신경을 침범한 경우를 일컬으며, 특징적으로 귓속이나 귓바퀴에 수포를 발생시킵니다. 이 경우 특발성 안면마비보다 회복률이 낮고. 통증이 심한 특징이 있으며, 예후도 일반적인 특발성 안면마비보다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안면마비에 대한 검사로는 무엇이 있나요? 펼쳐보기

    기혈 순환을 평가하기 위한 적외선 체열검사(DITI), 전반적인 몸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양도락, 맥전도 검사 등 한방 검사도 실시됩니다. 중추성 안면마비를 감별하기 위한 검사로 뇌 MRI 검사(Br-MRI)가 있으며, 신경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근전도 검사(EMG)가 시행되기도 합니다.

  • 안면마비는 어떻게 치료하나요? 펼쳐보기

    경락의 기혈을 소통시키는 침요법 및 몸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뜸요법을 사용하며, 환자의 체질 및 발병 원인에 따라 한약치료를 병행합니다. 열자극을 통해 침의 효과를 증강시키며,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온열요법, 안면 피부 속 표정근 주위 혈자리들을 풀어주는 미용침요법, 항염·면역기능조절·신경장애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봉독요법, 오장육부의 기능부조화를 조절하는 약침요법, 그 외에 고주파요법, 테이핑, 안면 표정 연습, 기공요법, 쑥짐팩, 마사지, 향기요법 등이 있습니다.

  • 치료 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재발하기도 하나요? 펼쳐보기


    치료 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재발하기도 하나요? 발병초기에는 안면마비의 증상이 진행되며 대체로 발병 10일째에 병의 악화가 중단됩니다. 회복은 수주에서 1년까지도 회복을 해나가며 그 기간은 안면신경이 손상된 정도에 따라 개인차가 있습니다. 따라서 발병 후 3~4주 정도의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안면마비가 재발하는 환자의 비율은 10% 정도로, 재발은 같은 쪽과 반대쪽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중추성 안면마비의 경우 중풍 치료와 더불어 안면마비를 치료합니다. 본 안면마비센터에서는 외래 및 입원프로그램을 통해 치료하며, 가능하면 초기 2주간 입원하여, 필요한 검사와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권장합니다.

  • 후유증이 생길까요? 펼쳐보기

    안면마비 환자의 80% 가량이 완전회복을 합니다. 그 나머지인 20%의 환자는 불완전 회복을 하여 좌우의 비대칭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안면신경이 다시 연결되는 회복 과정에서 잘못된 연결이 발생하여 입을 움직일 때 눈이 같이 감긴다거나, 음식을 씹는데 눈물이 흐른다거나, 마비된 쪽의 비순구(八자 주름)가 깊어지고 주름이 생기거나, 처졌던 입술이 위로 올라가거나, 씰룩거림, 안면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안면마비가 회복되기 전 눈이 잘 감기지 않으므로 각막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안면마비의 회복기 동안 인공눈물과 안대를 적절히 활용하여 안구를 보호하는 것이 시력저하 등의 후유증을 막기 위해 중요합니다.

  • 한약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펼쳐보기

    안면마비는 인체의 정기가 허약한 상태에서, 안면부를 담당하는 경락의 기혈소통이 막혀 발생하는 증상으로서, 이의 빠른 회복을 위해 한약을 처방합니다. 본 안면마비센터에서는 40년간의 수많은 안면마비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탕약, 환약, 엑기스제제 등의 다양한 제형을 처방해서 빠른 회복에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 얼마나 자주 침을 맞아야 하나요? 펼쳐보기

    초기에는 가급적 매일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고, 이후 경과에 따라 간격을 조절합니다. 입원의 경우에는 일반침, 전침, 피내침, 기타 특수침법 등으로 매일 집중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안면마비에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펼쳐보기

    1. 눈을 잘 깜박일 수 없으면 안대를 사용하여 눈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2. 눈이 너무 건조해지면 인공눈물을 사용합니다.
    3. 급격한 온도변화를 피하고 따뜻한 찜질(쑥찜팩)을 합니다.
    4. 세수할 때도 비눗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5. 주변에서 권유하는 민간요법(대추나무, 미나리아재비)을 함부로 따라하시면 안됩니다.
    6. 지나치게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음식, 냉음료, 술, 담배는 금기입니다.

    안면마비 센터에서는 안면마비, 안면경련, 안검하수 등의 안면 질환을 치료합니다.

말초성 안면신경마비(peripheral facial nerve palsy)

말초성 안면마비(facial palsy)는 안면의 운동기능을 담당하는 뇌신경 중(Cranial nerve) 안면신경(facial nerve)의 마비(palsy)에서 비롯되는 증상으로 얼굴 근육의 마비(palsy)로 인하여 마비(palsy)된 쪽의 얼굴이 일그러지고 찡그려지지 않으며 입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고 심한 경우 병변 쪽의 눈을 감지 못하며 음식을 먹을 때도 병변 쪽으로 음식이 흘러내리게 됩니다. 그 외에도 안면신경(facial nerve)의 마비(palsy)가 일어난 부위에 따라 맛을 못 느낀다거나 눈물이나 침이 나오지 않고 소리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되는 증상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원인

안면신경마비(facial nerve palsy)의 원인은 바이러스성 감염(viral infection), 외상(trauma), 뇌종양(brain tumor), 뇌졸중(CVA; cerebrovascular accident),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등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아무런 증상이 없던 사람이 갑자기 다른 증상은 없이 안면마비(facial palsy)만 나타나는 경우는 대개의 경우가 "Bell's palsy"라 하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추정하고 있는 질환입니다.

2. 감별진단

감별진단으로는 청신경초종(acoustic neuroblastoma)등 종양성 질환 등의 증상인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중추성(central type)과 말초성 마비(peripheral type)를 정확하게 감별해야 합니다. 중추성 안면신경마비(central type)는 뇌혈관 질환(CVA; cerebrovascular accident) 등의 일부 증상이므로 중풍의 관리에 준하여 치료를 함으로 말초성 안면신경마비(peripheral type)와는 전혀 접근방법이 다르며 말초성(peripheral type) 질환인 경우에도 Ramsay Hunt Syndrome 의 경우는 예후와 치법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검사실 검사

중추성(central type) 및 종양(tumor)을 감별하기 위하여 Brain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시행하는 것이 좋고 단순히 Bell's palsy인 경우에도 Temporal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통해서 안면신경(facial nerve)의 조영증강(contrast-enhancing)을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임상적으로는 적외선 체열진단 검사(DITI; Digital Infrared Thernal Imaging System) 등을 시행하여 경과를 관찰하고 있고 발병이후 약 2주 정도 지난 후에는 근전도(EMG; electromyograph)로 안면신경(facial nerve)의 손상정도를 check 하는 것이 좋고 이후 근전도(EMG; electromyograph)는 3개월 후에 follow up하게 됩니다.

4. 치료

치료의 최대 목표는 후유증(sequela)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환자에게 충분하게 교육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한의학적으로는 구안와사, 와사풍으로 불리는 질환으로 풍,한,열 등의 외사 및 기허, 혈허 등의 내상에 의해서 발병하게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기에는 맥락공허, 풍시입중한 경우에 산풍통락시키는 치법을 위주로, 회복기에는 기혈어저로 인해 행기활혈, 거풍통락시키는 치법을 위주로 치료 혈을 선정하고 또한 최근 향기요법 등을 이용한 새로운 치료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치료방제로는 초기에는 理氣시키는 약제가 주로 사용되며 敗毒散등의 약제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적절하게 대처해야 하고 회복기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辨證施治(변증시치 - 증을 변별하여 치료를 행함)를 하게 됩니다.

안면마비 후유증

1. 연합운동(synkinesis)

연합운동은 움직이고자 하는 특정 안면근육을 움직일 때, 의도하지 않은 안면근육의 움직임이 같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며, 안면근육의 운동을 담당하는 안면신경의 섬유들이 안면마비로 인해 손상되었다가 다시 회복되는 과정에서 잘못된 연결을 생성하여 발생합니다. 연합운동은 안면마비 후유증 중에서 가장 큰 불편을 초래하며, 눈 깜빡이기, 먹기, 말하기, 웃기 등의 기본 동작에 장애가 생겨 삶의 질을 감소시키고, 사회생활에서 얼굴 표정을 짓는 데에 문제가 생겨 환자에게 큰 고통을 줍니다. 게다가 연합운동은 치료가 잘 안 되는 증상으로 치료를 위해서는 극단의 노력이 필요하며, 연합운동의 예방적 치료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연합운동의 조합은 매우 많이 나올 수 있으며, 그중 이마 주름 잡을 때 입 꼬리 올라가는 동작, 눈 감을 때 입 꼬리 올라가는 동작, ‘우’ 할 때 눈이 감기는 동작, ‘우’ 할 때 턱이 움푹 들어가는 동작, 으르렁거릴 때 턱이 움푹 들어가는 동작 순으로 자주 나타납니다.

2. 구축(contracture)

안면구축은 안면근육이 뻣뻣하게 느껴지면서 심하면 눈꺼풀 틈새가 좁아지고, 입 꼬리가 올라가고, 비정상적으로 안면의 주름(특히 비순부 주름)이 깊어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안면구축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안면신경이 다시 회복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며 거의 항상 연합운동과 같이 나타납니다. 안면마비로 인해 손상된 안면신경이 다시 회복될 때에는 안면신경의 분지마다 회복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안면근육의 움직임에 비정상적인 차이가 생겨 안면구축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3. 경련(spasm)

안면신경의 장애로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질환이 바로 안면마비와 안면경련입니다. 그중 안면경련은 안면신경이 지배하는 안면근육에 불수의적으로 긴장성·간대성 수축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안면마비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안면경련은 안면마비가 원인이 되는 이차성 안면경련에 해당하며, 안면마비로 인해 손상된 안면신경의 운동섬유들이 다시 회복되는 과정에서 잘못된 연결을 생성함과 동시에 안면신경의 과흥분성이 유발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면마비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안면경련은 안륜근과 구륜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일차성 안면경련과 임상적인 특징이 비슷하지만 치료가 더 어렵습니다. 하지만 안면마비 초기 치료 과정중에 가볍게 나타나는 안면경련은 안면마비 후유증이 아니며, 이 증상은 6개월 이내에 사라지는 일시적인 증상입니다.

4. 악어의 눈물 증후군(crocodile tears syndrome)

음식을 먹을 때 미각적 자극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눈물이 나오는 현상을 악어의 눈물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악어의 눈물 증후군은 안면신경의 섬유들이 안면마비로 인해 손상되었다가 다시 회복되는 과정에서 침샘을 담당하던 섬유들이 눈물샘으로 잘못 연결되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침 분비 자극이 눈물의 분비를 초래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외에 안면근육의 운동을 담당하는 안면신경의 섬유들이 눈물샘으로 잘못 연결되면, 안면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눈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비록 악어의 눈물 증후군은 아니지만, 일종의 안면마비 후유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기타 안면마비 후유증

연합운동, 구축, 경련, 악어의 눈물 증후군 이외에 안면마비 후유증으로 눈물 감소, 미각 장애, 청각 장애, 이명, 청각 과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증상들은 눈물샘, 혀의 앞 2/3 미각, 등골근 등을 담당하고 있는 안면신경의 섬유들이 다 회복되지 않아 발생하며, 안면마비 초기에도 나타날 수 있고 안면마비 후유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안면마비 후유증의 위험인자

안면마비의 불량한 예후 인자에 해당하는 경우 안면마비 후유증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안면마비 초기에 신경 손상의 정도가 클수록 그 예후가 좋지 않아 후유증이 많이 남을 수 있습니다. 신경 손상의 정도는 근전도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검사 결과가 좋지 않으면 후유증이 많이 남을 수 있으며, 특히 신경 손상의 정도가 90%를 넘으면 그 예후가 매우 좋지 않습니다. 그리고 미각 검사, 등골근반사 검사, 눈물 검사가 안면마비의 예후를 판정할 때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검사 결과가 좋지 않으면 안면마비 후유증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또 안면마비의 원인이 외상성인 경우에 가장 후유증이 많이 남을 수 있으며, 특발성 안면마비(벨 마비)인 경우에 가장 후유증이 적게 남습니다. 이 외에도 안면마비의 불량한 예후 인자에 해당하는 완전 마비, 발병 후 3주 이내에 회복이 나타나지 않는 마비, 이차성 마비, 람세이 헌트 증후군, 60세 이상의 연령,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에 안면마비 후유증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으며, 임신 중이거나 당뇨가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안면경련(hemifacial spasm), 안검경련(blephalospasm)

1. 임상경과

안검경련(blephalospasm)을 포함한 안면경련(hemifacial spasm)은 안면신경자체의 과흥분성 이상반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원인으로서 Bell palsy후에 발생하는 이차성(secondary)인 것과 특발성(idiopathic)인 것이 있습니다. 40-50대에 잠행성(insidious)으로, 여자에서 보다 많이 발병합니다.

2. 진단

진단으로는 최근에는 7번신경이 나오는 뇌간(brain stem)의 혈관기형(arterial malformation) 및 점거성 병변을 배제하기 위하여 temporal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대부분이 AICA(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등의 뇌간(brain stem)에서나오는 혈관이 7번 뇌신경(cranial nerve)을 압박(compression)하여 과흥분이 생기는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소견(finding)과 임상 증상 등을 참고하여 수술요법(미세혈관감압술; microvasular decompression)을 양방과의 협진을 통해서 권유하기도 합니다.

3. 치료

한의학적으로는 안검경련(hemifacial spasm)을 안포진조라고 표현하고, 그 외 목미조. 목순, 목조, 안피조 등의 이름으로 불립니다. 원인으로는 風熱, 氣血不足, 濕痰鬱滯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침구치료혈도 각각의 원인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처방은 안면신경마비(facial nerve palsy)에 준해서 사용하게 되며 증상보다는 환자의 상태가 주안점이 되며 전반적인 general condition의 회복을 목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안면부의 감각장애(통증, 저림)

한의학에서 얼굴은 모든 양기가 모이는 곳으로 쉽게 동통, 저림, 마비가 올수 있습니다. 안면통증(facial pain)을 일으키는 질환은 치과적 질환, 악관절 장애에 의한 통증,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에 의한 경우가 있으며 얼굴의 저림은 안면비증으로 두 경우 모두 마비(근육의 위약)은 없습니다.

삼차 신경통 (trigeminal neuralgia)

1. 임상양상

안면의 표재 감각(superficial sensory)은 주로 제5뇌신경인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이 지배합니다. 따라서 안면통은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이 대부분이지만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와 기타 신경도 관련되어 있으므로 안면통이 모두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은 아닙니다. 매우 심하며(severe), 예리하고(sharp), 칼로 찌르는 듯(stabbing)하며 갑작스런(paroxismal) 통증이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영역에 국한되어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발작적으로 일어납니다. 바람이 스치거나 음식물을 씹거나 세수, 양치질 등의 가벼운 자극에도 통증이 쉽게 유발됩니다.

2. 원인 및 진단 방법

발병요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며 50세 이상의 여자환자에서 더 빈번합니다. 최근에 밝혀진 바와 같이 삼차 신경통(trigeminal neuralgia)도 뇌간(brain stem)부위의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의 기시 분지(originating division)의 혈관 기형(arterial malformation) 및 점거성 병변이 대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시행하여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감별진단

일반적으로 안면의 통증(facial pain)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 즉 치과적인 문제라든지, TMJD(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등의 여부를 감별해야 합니다. TMJD의 경우는 일반적인 생활 습관의 개선과 MPS(myofascial pain syndrome)적인 접근을 통해서 접근하므로 삼차신경통과는 치료방법이 다릅니다.

4. 치료

본 clinic에서는 보존적 요법(conservative therapy)으로 침구 치료 및 약물 치료를 시행합니다. 한의학적으로 편두통, 면통의 범주에 속하며, 感受風寒(감수풍한), 痰火之邪(담화지사), 陽明胃熱(양명위열)이 원인으로 散風淸熱(산풍청열), 活血通絡(활혈통락)하는 치법을 사용합니다.

악관절 장애에 의한 안면 통증 (Temporomandibular disorder)

턱관절에 통증이 있거나 잡음이 있고 개구장애 등이 동반될 때 악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라고 부릅니다.

1. 원인

관절내의 병변이나 치아의 교합에 이상이 있을 때 생긴 것으로 간주하여 치과의 영역에서 진료대상으로 삼았으나 대다수의 악관절 통증은 악관절의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지속적인 과긴장이 관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 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장치 상담을 통한 일상생활의 관리, 스트레스 관리, 침구치료 등으로 치료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면통, 편두통의 범주에 속하고 大腸經, 胃經, 小腸經, 三焦經, 담경이 악관절과 두개 안면부로 유주하므로 해당 경락의 경혈을 원위, 근위 취혈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치료 혈위는 환자에 따라 다르지만 교근의 압통점에 특히 주의해서 치료 혈위를 선택하고 건측에서는 합곡(LI4), 족삼리(ST36), 환측에서는 하관(ST7), 예풍(TE17), 태양, 협거(ST6)를 취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굴의 저림

얼굴의 저림을 대표로 하는 모든 감각장애를 한의학에서는 안면 비증(顔面痺症)이라고 하는데 비증은 기(氣)와 혈(血)이 통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질환은 얼굴의 근육이나 경락이 외부의 침해를 받거나 혹은 우리 몸 안의 기운이 약할 경우 외부의 풍(風), 한(寒), 습(濕)의 나쁜 기운에 상하여 결국 기혈의 흐름이 막혀서 얼굴 부위의 저림, 혹은 아프거나 뻣뻣한 느낌, 혹은 무거운 느낌 등의 감각이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며 단 운동의 장애(마비)가 있는 경우는 이 질환의 범주에 들지 않습니다.

무거운 느낌이 얼굴 한 부위에 때는 습(濕)에 상한 경우가 많고 통증이 주가 될 경우는 한(寒)에 상한 경우가 많으며 저리거나 아픈 것이 얼굴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경우는 풍(風)에 상한 경우가 많습니다.

안검하수(눈꺼풀 처짐)

안검하수는 윗눈꺼풀이 정상 위치 아래로 내려오는 것으로 윗눈꺼풀(안포)이 스스로 올라가지 못하고 아래로 쳐저서 눈의 부분 혹은 전체를 가리는 질병입니다. 심한 안검하수는 윗눈꺼풀이 전혀 힘을 받지 못하여 개안하지 못하며 물체를 볼 때 이마의 근육이 당기거나 주름이 잡히고 눈썹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선천적으로 발병하기도 하고 후천적으로 생기기도 하는데 후천적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질환은 동안신경이나 교감신경 혹은 다발성 경화증 같은 뇌신경계의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고, 중증근무력증이나 안검거근 외안근의 근육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하고, 간혹 윗눈꺼풀이 무거워져서 생기는 경우도 있으며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를 위증(症)에 범주에서 치료합니다. 위증은 근육이 힘이 없는 것이 주된 증상이고 통증을 비롯한 감각장애는 없습니다.

정규 침 요법

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전통적으로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입니다. 침치료로서 풍한이 안면경락에 침습하여 발생한 기혈순환의 장애를 개선합니다.

정규 침 요법

뜸요법

따뜻한 기운을 경락에 넣어주어 기혈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몸의 자연치유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뜸요법

한약물 요법

환자의 체질 및 원인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약물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의 흐름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 기를 잘 소통시키는 약물을 위주로 하여 처방하게 되며, 최적의 엄선된 약물을 사용하여 급성기에는 발병 초기의 진행을 막고, 만성기에는 병변 및 전신의 빠른 회복을 위한 맞춤식 처방을 사용합니다.

한약물 요법

봉독요법

봉독요법은 항염, 면역기능조절, 신경장애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손상된 안면신경의 회복을 돕습니다. 특히 안면신경마비의 초기, 이후통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봉독요법

미용침(안면침) 요법

일반적인 침 시술보다 더욱 가늘고 예민한 침을 사용하여, 안면 피부 속 표정근 주위 혈자리들을 침으로 풀어주고 경혈을 자극하여 안면 근육의 비대칭을 교정해줍니다. 원래 안면침은 주로 주름 완화나 리프팅 같이 안면 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얼굴의 처진 근육을 올리고 주름을 없애며 안면근육의 비대칭을 해소하여 자연스런 얼굴을 만들어 주는 효과로 인해 주로 안면마비 후유증 단계에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약침요법

약침은 오장육부의 기능부조화를 조절하여 근원적인 치료에 이르도록 도와줍니다.

약침요법

매선요법

약실 주입기를 사용하여 혈위 내에 인체에 무해한 이물인 약실(수술용 실)을 매입함으로써 혈위 자극을 지속적으로 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매선은 문자 그대로 ‘실을 묻는다’는 것으로 경혈점 또는 일부 통증과 질병을 일으키는 부위 또는 민감한 부위에 인체에 무해한 이물질인 선을 매입하여 오랜 유침으로 인한 자극의 극대화를 통해서 인체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주목적으로 합니다. 이 때 사용하는 약실은 폴리디옥사논 봉합사로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분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술 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전침요법

안면마비와 같은 마비성 질환에 효과적인 강도의 전기 자극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치료를 도와줍니다.

전침요법

전동 피부침 요법

한의학의 고전인 황제내경의 <영추. 자법>에 기술된 피부침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러 개의 침을 얕게, 넓은 부위에 자침하는 치료법입니다. 이는 안면마비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마비된 안면의 불쾌감, 감각이상과 같은 안면마비 후유증 증상에 효과적입니다.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안면마비센터에서는 뛰어난 정밀성과 시술시 침의 깊이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AMTS 즉. auto MT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동 피부침 요법

피내침 요법

안면부의 주요 경혈에 스티커 형태의 피내침을 붙이는 치료법입니다. 입원 치료시 매일 저녁 시행하여, 수면시간 동안에도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치료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합니다.

경락수기 요법

안면운동, 전기자극, 고주파, 쑥찜팩, 마사지, 테이핑, 향기요법 등. 운동이나 전기자극은 안면부의 근육 및 신경의 기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고주파나 쑥찜팩, 마사지 요법 등으로 붓기를 감소시켜주고 이환된 조직으로 혈액이나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하도록 도와줍니다.

기공요법
  • - 준비단계 : 전신의 경락을 자극하여 기혈순환을 원활하게하고 경직된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는 단계
  • - 안면부 복합운동 : 안면근육의 운동을 통하여 근육의 구축을 예방하고 혈액순환을 증진하는 운동방법
  • - 마무리단계 : 기의 순환을 안정시키는 단계
안면마비의 자가운동 요법 1

안면마비의 자가운동 요법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