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진료분야 > 관절질환
확대축소

관절통증의 개요

관절질환은 병변 부위에 따라 크게
1. 관절 주변의 근육 및 건(힘줄)의 손상, 약화
2. 관절 주변의 인대의 손상, 약화
3. 관절면의 연골 및 뼈 자체의 손상
4. 활액낭(관절강) 내 윤활액의 비정상적 염증 반응
으로 구별하여 치료합니다.

[관절통증의 개요]

대상질환

  • - 퇴행성 관절염
  • - 류마티스 관절염
  • - 오십견
  • - 회전근개파열
  • -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치료방법

1) 침

국소 부위의 기혈 순환을 촉진해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침

2) 뜸

국소 부위에 온열자극을 줌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저항력을 증진시킵니다.

뜸

3) 부항

국소 부위에 음압을 주어 피가 몰리게 하거나 피를 뽑아냄으로써, 혈액순환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부항

4) 봉독

소염진통, 면역기능조절, 신경장애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각종 근골격계 질환에 다용하며, 한의학적으로는 침, 뜸, 부항의 효과를 동시에 발휘합니다.

봉독

5) 매선

인대나 근육에 약실을 자입함으로써 조직이 강화되고 기혈순환이 정상화되어 통증완화와 재발방지에 효과적입니다.

매선

6) 약물치료

급성기에는 염증과 통증을 제거하고 어혈을 제거함으로써 순환을 도와주는 약물을 사용하고, 만성기에는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약물을 사용합니다.

약물치료

퇴행성 관절염

1) 퇴행성 관절염이란?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단계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나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퇴행성 손상이 일어나 발생합니다.

2)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
  • - 관절염이 발생한 관절 부위의 통증
  • - 관절운동 범위의 감소
  • - 관절 주변의 부종
  • - 관절 운동 시 "딱딱" 거리는 마찰음
3)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

류마티스 관절염

1)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우리 몸의 자가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다양한 관절 부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며, 한의학에서는 그 원인을 어혈(맑지 못한 혈액)로 보고 있습니다.

2)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오십견

1) 오십견이란?

오십견의 진행과정

오십견이란 '유착성관절낭염' 또는 '동결견'이라고도 하며 어깨 주위 근육 및 인대 등의 조직에 문제가 발생하여 운동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50대 전후에 자주 발생하여 오십견이라고 부르나 최근에는 젊은 사람들에게도 많이 발생하는 추세입니다.

2) 오십견의 증상
  • - 통증 : 밤에 심하며 아침에 일어나 관절을 조금씩 움직이면 감소함
  • - 어깨 관절의 강직
3) 오십견의 치료

(1) 한약물요법
습담(濕痰)이나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한약물을 위주로 하여 어깨통증의 근본 원인을 제거합니다.

한약물요법

(2) 봉독약침요법
소염진통효과, 어혈제거효과 등이 있는 봉독약침액을 직접 어깨관절 주위에 주사하여 견관절 통증완화 및 어혈제거를 도모합니다.

봉독약침요법

(3) 침술요법
견관절 주위 경혈 혹은 어깨 통증에 특효가 있는 혈을 자극하여 습담과 어혈을 제거하고, 기혈순환 개선을 통해 통증완화와 관절 움직임을 증강시킵니다.

침술요법

(4) 뜸요법
견관절 주위에 직접적으로 온열 자극을 주어 순환개선과 통증완화를 도모합니다.

뜸요법

(5) 부항요법
특히 온열자극을 겸할 수 있는 불부항을 이용해 어깨관절 주변의 온열자극과 함께 음압을 유발하여 어혈제거를 통한 순환개선 및 통증완화를 도모합니다.

부항요법

(6) 운동요법
전문물리치료사의 물리요법을 통해 관절운동의 제한을 개선시킵니다.

운동요법

회전근개 파열

1) 회전근개 파열이란?

회전근개 파열이란 어깨를 움직여 주는 근육이 반복되는 충격이나 마모에 의해 찢어지는 질병으로,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일종의 근육의 퇴행성 변화를 말합니다.

2) 회전근개 파열의 증상

반대 팔로 아픈 팔을 올리려 하면 올라가지만 파열로 인해 힘이 약해져 올린 팔을 유지하지 못하고 아픈 팔이 툭 떨어지거나 어깨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3) 회전근개 파열의 치료

회전근개 파열의 치료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1)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진행과정

대퇴골의 머리 부분에 혈액공급장애로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못해 뼈가 죽으면서 부서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과도한 음주, 고관절 부위의 외상과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병변 초기에는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지 않으나, 병이 진행될 경우 골두의 함몰에 의해 병변 부위 하지가 짧아지며 고관절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 또한 활동에 의해 악화되는 서혜부 동통, 때로는 둔부, 대퇴부 혹은 슬관절부의 동통을 호소하며 파행을 보입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진행과정

2)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치료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치료